반응형
과불화탄소
-
모유에서 환경호르몬이?건강톡 2022. 8. 8. 20:48
2008~2014년 사이에 한국 청소년들의 인구 10만 명당 성조숙증 발생률이 남자는 9배, 여자는 4배 증가했다. 현재 여자아이 10명 중 1명이 성조숙증이고, 남자아이들의 선천성이상인 요도하열과 잠복고환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. 성 발달 관련 문제의 급격한 증가는 성장을 촉진하는 음식의 과잉섭취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다. 특히 이러한 변화는 여성호르몬 작용이 강화되고, 남성호르몬 작용은 억제되는 것과 관련되어 있어서 환경호르몬의 작용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. '내분비교란물질'이라 불리는 환경호르몬은 인체호르몬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. 환경호르몬이 체내에 유입되면 정상적인 호르몬반응을 교란시켜 다양한 신체증상 및 질병을 유발한다. 그런데 대다수 산모들의 모유에서 환경호르몬이 검출된다. 이는 산모가 지속적..